- Auto-Encoder의 두 가지 활용 방식
1. 입력 정보와 AE의 출력 정보간 차이를 손실 함수로 정의하여 직접 이상치 탐지를 수행
2. 차원 축소의 목적으로 AE를 학습시킨 뒤, Latent vector를 다른 Anomaly Detection 모형의 input으로 사용
[참조] 강필성 교수님의 https://fastcampus.co.kr/data_academy_kps1 강의 자료를 참조했습니다.
반응형
'Machine Learning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nsemble model - 핵심 아이디어/효과, 배깅-부스팅 비교 (0) | 2022.07.05 |
---|---|
Anomaly Detection - Extended Isolation Forest (0) | 2022.07.05 |
Anomaly detection - 밀도 기반 이상치 탐지 (Gauss, MoG, Parzen window) (0) | 2022.07.05 |
Anomaly detection - 평가지표 (0) | 2022.07.05 |
Anomaly detection - PCA, Autoencoder, GAN (0) | 2022.07.04 |